2012년 10월 30일 화요일

미국의 기업가정신 (The United States of Entrepreneurship)

미국은 비교적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세계적인 기업가를 배출했습니다. 1900년대 자동차 제작회사 Ford 설립자 Henry Ford 그의 산업철학으로 조립라인 방식의 포트시스템을 확립해 당시 중산층의 소유물이었던 고가의 자동차를 대중에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했으며 그의 혁신적인 T자형 포드시스템은 아직까지도 사용되고 연구되고 있습니다. Henry Ford 아니라, Bill Gates, Steve Jobs, Jack Welch 여러 미국 기업가들은 과거 경기 침체기에서 벗어날 있었던 원동력이었습니다. 기업가정신과 혁신이 바탕을 이루는 벤처기업과 중소기업들은 1980년대 수많은 일자리를 창출했을 뿐만 아니라 GDP 향상 부가적인 가치를 창출하는데 역할을 했으며 지금도 미국은 유능한 기업가를 육성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현재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한 미국의 Microsoft, Intel, Genentech, Genzyme, Johnson & Johnson 많은 대기업들은 미국이 경제 침체를 경험할 당시 설립된 회사들이며 아직까지도 미국 경제에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미국이 이러한 유능한 기업가들을 양성하며 기업가 정신의 문화를 전세계적으로 퍼트릴 있게 배경은 무엇일까요?
2011 The Economist 선정한 World-wide Top 50 MBA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64% 32개의 MBA 미국 대학으로 평가되었습니다. MBA 대학 랭킹을 통해 MBA 수준을 판가름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은 사실이나 Top 50 MBA 무려 절반 이상이 미국에 있다는 것은 미국이 그만큼 기업가 정신을 가르치는데 깊은 뿌리가 있다는 것을 유추해볼 있습니다. 미국은 MBA 경영학뿐 아니라 인문계, 이공계 전공 학생들이 기업가가 지녀야 능력을 습득할 있도록 많은 직간접적인 제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대학이 학생들과 산업을 연결시켜주는 중간 역할을 함으로써, 젊은 청년층들의 잠재적인 아이디어를 끄집어 실용으로 사업을 시작할 있도록 돕고, 필요에 따라서 재정적 도움이나 회사가 자리잡을 있도록 컨설팅도 해줍니다. 학교에서 주최하는 다양한 Business Plan Contest (사업 계획서 대회) 혁신적인 기술로 사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서로 경쟁을 하여, 뛰어난 사업 계획서를 선보인 학생에게는 사업에 보탬이 되도록 상금을 줍니다.
예로, UIC (University of Illinois-Chicago) 에서 주최하는 Concept2Venture (C2V) “OECD Universities,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Criteria and examples of Good Practice” 선정된 프로그램 하나입니다. 2005 UIC Rod Shrader 교수에 의해 시작된 C2V Business Plan Competition 주최해, 학생들이 설계한 다양한 Business Plan 심사합니다. 프로그램은 사업가로써의 잠재력을 보유한 학생들을 도와 그들의 Business Plan 성공적으로 사업화시킬 있도록는데 돕습니다. 프로그램을 위해 매년 100,000달러의 예산은 대부분 후원업체에 의해 출자되며 30,000 달러는 대학교로부터 후원을 받습니다. C2V 상금 이외에도 학생들이 서로 네트워크를 형성할 있도록 주기적으로 Workshop 열며 다양한 사례 연구를 통해 성공적으로 사업을 실현시킬 있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지금까지 9 개의 성공적인 사업을 사례가 있으며, 5 개는 매우 잠재성이 높은 생명공학(Bio-Technology) 회사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업가의 능력을 배양하는 교내 다양한 프로그램 외에도 미국 대학들은 지역 사회가 집중하는 사업을 키워 대학 중심으로 하나의 산업 단지 (Industrial Cluster) 만들고자 노력을 합니다. 예를 들어, IT 벤처 기업의 메카로 알려진 Silicon Valley Stanford University 가까이에 위치해 있어 대학 연구소와 Silicon Valley 최첨단 기술을 효율적으로 상호 전달할 있습니다. 미국 서부에 위치한 Stanford University 소프트웨어(SW)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섹터에 포커스 두어 Silicon Valley 적합한 기업가를 육성하고자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초창기 Silicon Valley 절반 정도의 벤처 기업들은 대학 연구로부터 비롯되었습니다. California 북부에 위치한 Silicon Valley 20세기 초반부터 다양한 벤처 기업들이 들어서면서, 현재는 Apple, Facebook, Google, HP, Oracle, Ebay, Tweeter Intel, Yahoo 그리고 Google 여러 기업들의 본사가 위치해 있습니다.
세계 여러 곳에서 파산을 인생의 실패로 여겨지지만 끊임없이 새로운 벤처 신화를 창조하는 Silicon Valley에서 파산은 Badge of Honor (명예의 훈장)이라고 합니다. 언제나 도전정신 하나로 다시 일어날 있는 Silicon valley 기업가정신이야말로 Silicon Valley 키울 있었던 원동력이었습니다.
이외에도, 이공계 대학으로 유명한 MI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제조업에 집중하며, 의학계의 Johns Hopkins University 의료 서비스나 생명공학 (Bio-technology) 산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OECD (경제협력개발기구) 에서 발행한 ‘’From Strategy to Practice in University Entrepreneurship support’’에는 기업가정신을 지원하는 여러 대학들의 성공한 사례들을 모아놓았습니다. 여기서 소개된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RPI) New York, Troy 위치한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공과대학 하나입니다. Lally School of Management and Technology RPI 경영대학으로 이공계 대학과 협력하여 모든 계열의 1학년 학생들에게 기업가정신 원론 (Fundamental for Entrepreneurship) 필수과목으로 선정해 가르칩니다. Lally School of Management and Technology 사업을 시작하려는 학생들을 위한 엔젤 투자 멘토링 프로그램이 (Angel Investing Mentor program) 있어, 벤처 펀드, 프라이빗 에쿼티, 자산 관리법 등에 관한 올바른 의사 결정을 배울 있습니다. 경영대학과 공과대학 학생들에게 모두 제공되는 혁신 (Innovation)’ 관련 과목에는 Engineering Design, Inventor Studio, Multidisciplinary Design Laboratory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RPI Incubator Program ‘Giving life to new ideas’라는 미션을 바탕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발전시키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는 지역 경제 발전을 이루고자 합니다. RPI Rensselaer Technology Park 소유하고 있는데 산업 단지는 RPI 여러 벤처 사업들이 서로 협력하여 시너지효과를 내고자 설립되었습니다. 2011 현재로는 70개의 사업소가 임대되고 있으며 이곳에 들어선 기업들은 ‘Venture Affiliates of RPI’ 멤버로 활발한 기술 이전(Technology Transfer) 이루 있도록 합니다. Rensselaer Technology Park 특정 기술이나 산업에 한정하지 않고 기계, 물리, 생명공학, 소프트웨어 산업 다양한 분야에서 2400 이상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대학과 산업의 협력 이외에도 미국이 현재까지 수많은 기술을 보유하고 그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사업을 확장 시킬 있었던 계기는 국가의 제도적 보호가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1980년에 미국 상원 Birch Bayh Bob Dole 의해 제안된 Bayh-Dole Act (바이- 법안) 특허 상표에 관한 법령의 개정안입니다. 법안은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은 공공연구소, 대학, 비영리단체 등의 연구결과를 기관이 특허를 출원하고 기술 사용료를 받을 있게 허가하는 제도입니다. 법안은 단순 학문적 대상의 연구개발 활동을 실용주의적 대상으로 확장시켜 미국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Bayh-Dole Act 통해 미국 대학 연구 기관들의 특허 출원은 더욱더 활발해 졌으며 R&D 개발에 더욱더 집중화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1969년에서 1974 사이에 특허 라이센싱이 30% 증가했던 반면 1989년과 1997 사이에는 무려 , 1984년과 1989 사이에도 배의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대학에서 출원하는 특허의 비율 또한 1975년도 1%에서 1990년도에는 2.5% 증가했음을 보입니다. 이후 많은 대학에는 독립적인 Technology Transfer Office 설립되며 더욱더 전문적으로 특허 출원과 라이센싱을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미국의 법적 제도는 대학의 청년들로 하여금 사업을 꾸리는데 불리함이 없도록 보호합니다.
미국이 세계에서 가장 벤처 캐피털 산업을 이룩할 있었던 것은 기업가정신을 키우는 여러 비영리 단체들의 또한 컸습니다. Kauffman Foundation 미국에서 기업가정신을 연구하는 가장 재단입니다. 1960년대 중반에 성공한 기업가 Ewing Marion Kauffman 의해 설립된 재단은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 혁신(Innovation)이라는 모토로 기업가들을 육성해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습니다. Kansas City, Missouri 위치한 Kauffman Foundation 현재는 European Foundation, OECD Centre for Entrepreneurship, SMEs and Local Development (CFE) 여러 국제 기구들과 협력해 세계의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교육가, 연구원 그리고 다양한 기업 파트너와 함께 기업가정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을 추진하면서 기업가들에게 많은 기회가 주어지는 entrepreneurship-friendly 환경을 만들고자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Kauffman Global Scholar Program 전세계의 유능한 청년 기업가들을 위한 6개월간의 집중 코스로 미국의 기업 문화를 흡수하고, 국제적인 기업가로 성장시키고자 2006년에 처음 시작되었습니다. 교육 과정을 통해 혁신, 기업가 정신, 리더십, 사업 추진력 등의 능력을 겸비한 기업가로 성장할 있도록 합니다. Silicon Valley Bonston에서 벤처 기업들을 접하게 되며, MIT, Harvard 그리고 Stanford Centers for Technology and Enterprise 에서도 교육을 받게 됩니다. 이후 12 동안은 각자 적합한 산업에 직접 실무 경험을 함으로써 자신들이 배운 역량을 실전에 옮기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Kauffman Foundation 프로그램 iBridge 연구원, 기업가 그리고 투자자들을 인터넷상으로 연결시켜줌으로써 대학의 연구원들의 아이디어를 실용적으로 활용할 있도록 돕습니다. 연구원들이 새로운 발견이나 기술을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에 개제함으로써 기업가와 투자자들은 이러한 정보를 있습니다.
Kauffman Foundation FastTrac Program 성공적인 사업을 시작하고 경영하는데 필요한 사업가적 능력을 개발시키고자 만들어졌습니다. 1993년부터 시작된 프로그램은 현재까지 300,000여명의 기업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기업가적 통찰력, 리더십, 멘토, 네트워크 포괄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FastTrac 프로그램은 미국 상공회의소, Business Development Center, Local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councils, 컨설팅 업체 다양한 영리적, 비영리적 협력 단체들에 의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Our time and opportunity to frame the future of development is now – we’re using science, innovation, entrepreneurship and ingenuity to create game-changing solutions that will build better lives for millions of people around the world”
USAID (미국 국제개발처) 사무관, Dr. Rajiv Shad 인용문처럼, 현재의 과학, 혁신, 기업가정신 그리고 독창성은 미래에 나은 세상을 만드는데 역할을 것입니다.
참고자료
OECD, Universities,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OECD, 2009, Jobs for Youth (United States)
OECD, 2010, From Strategy to Practice in University Entrepreneurship Support
OECD, 2010, Economic Surveys (United States)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