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0월 30일 화요일

우메어 하크의 ‘새로운 자본주의 선언’으로 본 구글 (Google)

2011년 8 15, Google이 미국 휴대전화 업체인 Motorola Mobility를 현금 125억 달러 ( 13 5125억 원)에 인수한다는 발표 이후, 한국은 큰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Samsung Apple 사이의 특허 소송이 진행중인 가운데 Google Motorola 인수를 긍정적으로 보는 사람들도 있는 반면, 소프트웨어 업체인 Google이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세계 휴대폰업계의 최강자인 Motorola를 인수함으로써 또 다른 강적을 만났다는 의견도 많았습니다. IT 강대국이라고도 불리던 한국이 이 업계에서 설 자리를 잃을 수 있다는 불안감 또한 불거졌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최근에 출판된 Umair Haque (우메어 하크) The New Capitalist Manifesto (새로운 자본주의 선언) 이란 책을 토대로 Google의 업적과 성공 비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진 출처: American Center Korea, http://blog.naver.com/usembassyack/130116330636)

 
Google 1998 Larry Page Sergey Brin 이 만든 인터넷 검색 엔진 회사로, 현재 미국 전체 인터넷 검색의 2/3, 전 세계의 70%를 장악하고 있습니다. Google이란 이름은 미국의 천문학자 Carl Edward Sagan이 언급했던 10^100을 뜻하는 Googol (구골)이란 단어를 잘못 표기한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회사가 나스닥에 상장된 이후 검색엔진에 불과했던 Google은 오늘날 Google 북서치를 통해 지난 수백 년간 출판된 책들의 텍스트를 찾아볼 수 있고, 거의 무제한인 G-mail에서는 이메일을 확인할 수 있으며, Google Earth를 통해서 인공위성으로 본 세계 곳곳을 찾아보며, Google Docsspreadsheet으로 어디서든 문서 작업을 할 수 잇는 Cloud Computing 프로그램까지 갖추었습니다. 이외에도 Google에서 개발한 Chrome 브라우저, 스마트폰 Android OS, Youtube 등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검색엔진에서 전 세계의 70%를 장악한 Google, 탑 스마트폰 OS에서 43.4%를 찾이한 Google Android, ( Symbia (Nokia)-22.1%, iOS (Apple)-18.1%, BlackBerry(RIM)-11.7%, Bada(Samsung)-1.9%, Windows Mobile(Microsoft)-1.6% ), 그리고 등장한지 3년 채 되지 않은 Google Chrome이 세계 브라우저 시장 점유율의 20.7%를 차지할 수 있게 된 근원지는 무엇일까요. 그 해답을 Umair Haque The New Capitalist Manifesto (새로운 자본주의 선언)이라는 책에서 찾아보았습니다.

Umair Haque는 자본주의 옹호자로서, 다양한 사례 연구와 금융적 모델링, 인터뷰를 통해 21세기 기업들을 두 집단으로 나누었습니다; 반란자 집단(건설적 자본가)와 현상 유지 집단(산업화 시대의 자본가). 여기서 Google을 포함한 Apple, Nintendo, Wikipedia 그리고 Tata는 반란자 집단에 속했으며, Yahoo!, Sony, GM, Gap 그리고 Adidas 회사들은 후자에 속했습니다.

이 책에서 Google을 실례로 소개한 세 번째 장에서는 건설적인 자본가가 되기 위해서는 탄력성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탄력성의 가치 추출은 경쟁 전략의 수립이 아닌 기업만의 철학을 만들 때 생긴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Google이 설립된 지 15년 채 되지 않은 지금,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미디어 회사이자 가장 혁신적인 사업 모델을 구축하게 된 비밀은 강력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서가 아닌 강력한 진화가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급진적인 제도적 혁신이라는 하나의 철학을 가지고, 다른 기업들은 미미한 차이로 서로 가격과 기술 경쟁을 할 때, Google은 경쟁 자체를 봉쇄하는 데 관심이 있었습니다.
Google Microsoft와는 대조적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혁신했습니다. Microsoft는 보호주의 속에서 Excel Word 프로그램은 10년 동안 거의 진화하지 않은 반면, Google은 반마이크로소프트적이였습니다. Google은 꾸준한 진화 과정을 통해 더 두터운 가치를 창출 했으며 앞으로도 Microsoft와의 경쟁을 무의미하게 만들 경쟁력 있는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것 이라는 것이 저자의 입장입니다. 사회에도 혜택이 되는 지속 가능하고 유의미한 두터운 가치야말로 21세기 기업들이 살아남기 위한 필요조건이라고 합니다.
Google의 엔지니어링 메니저인 브라이언 피츠 페트릭은 이런 말을 했습니다.
다른 누군가가 나타나 당신을 전복하기 전에 당신 스스로 하라
Google은 경쟁사들로부터 자신의 낡고 빈약한 가치를 보호하지 않고 스스로를 전복시킴으로써 더 빠르고 더 일관된 진화 능력을 갖춘 가장 다원주의적인 조직으로 탈바꿈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사진 출처: American Center Korea, http://blog.naver.com/usembassyack/130116330636)
마지막으로 다음은 이 책에서 소개된 Google 10대 기업 원칙입니다.
1. 사용자에 초점을 맞추라, 그러면 다른 모든 것은 따라올 것이다.
2. 한 가지를 정말 정말로 잘하는 것이 가장 좋다.
3. 빠른 것이 느린 것보다 낫다.
4. 웹에서 민주주의는 가능하다.
5. 해답을 찾기 위해 책상에 앉아 있을 필요는 없다.
6. 악해지지 않고도 돈을 벌 수 있다.
7. 저쪽에 언제나 더 많은 정보가 있다.
8. 정보의 필요성은 모든 국경을 초월한다.
9. 정장을 입지 않아도 진지해질 수 있다.
10. 훌륭하다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스스로를 파괴하지 않는다면, 새로운 파도가 당신을 휩쓸 것이다.”
새로운 자본주의 선언에서 강조하는 자신만의 철학 21세기의 대표적인 건설주의 자본주의 기업 Google의 신화를 통해, 우리 모두 앞으로 21세기형 자본가가 되는 법을 익혀나갔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